SQL

SELECT, FROM, DISTICT, COUNT

시키테이 2020. 8. 29. 05:02
반응형
SELECT * FROM table1;

SQL의 기본은 테이블에서 열을 뽑아내는 겁니다. 이 때는 SELECT 열 이름 FROM 테이블 이름입니다. 소문자로 써도 상관은 없으나 명령어는 대문자로 적어주는 게 SQL의 기본 규범입니다. table1에서 c1칼럼을 뽑아내라. 

SELECT c1 FROM table1;

두 개 이상의 칼럼(열)을 뽑을 때는 아래와 같이. 

SELECT c1, c2 FROM table1;

DISTINCT는 고유값을 뽑아내라는 뜻입니다. 예를 들어 이름 열을 추출했는데 공교롭게도 동명 이인이 있을 수 있죠 이 경우 동명이인의 이름을 두 번 뽑아내는 게 아니라 그냥 그 이름 하나만 뽑아내라고 하는 게 DISTINCT의 기능입니다. unique 값만 검색하는 게 DISTINCT의 기능입니다.  열에 괄호를 쓰기도 하고 안 쓰기도 합니다. 

SELECT DISTINCT c1 FROM table1; ​
SELECT DISTINCT (c1) FROM table1; 

COUNT는 열의 숫자를 세어주는 기능입니다. 그래서 결과물도 데이타로 나오는 게 아니라 숫자로 나옵니다. c1의 열의 숫자가 몇 개나 되느냐 이걸 계산해주는 게 count인데, how many로 연관된 질문들이면 이 COUNT 명령문이 유용한 역할을 해줍니다. 

SELECT COUNT (c1) FROM table1; 

모든 칼럼을 대상으로 값이 부여된 열이 몇 개 있느냐 할 때는 *을 쓰면 되구요. 

SELECT COUNT (*) FROM table1; 

DISTINCT와 COUNT의 결합. c1 값들 중에 (반복되지 않는) 고유값이 몇 개나 있느냐. 

SELECT COUNT (DISTICT c1) FROM table1; 
반응형

'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QL 기본 명령어 정리표  (0) 2020.08.21
MySQL vs PostgreSQL  (0) 2020.08.15